생생 진로정보
전기전자 공학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진로의 세계

기름 없이 움직이는 자동차, 저절로 청소하는 로봇,
태양열로 전기를 생산하는 집, 원격으로 집에서 받는 수업과 소형 TV 전화기.
1965년에 사는 사람들이 2000년대에는 이루어질 것이라고 상상했던 것들입니다. 지금 우리 주위에 50년 전 상상했던 것 중에 실현되지 않은 것이 거의 없습니다. 전기자동차와 로봇 청소기, 태양열 주택과 인터넷 강의, 스마트폰에 이르기까지 1960년대에 상상했던 것들은 모두 오늘날 현실에서 구현되어 우리 삶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과거에는 상상이었지만 지금 현실로 구현된 물건들의 공통점들은 무엇일까요?
많은 것들이 전기전자공학을 하는 사람들이 만들어낸 발명품입니다.
이처럼 상상을 실제로 실현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열쇠가 바로 전기전자공학인데요.
미래 사회는 이 같은 기술을 가진 사람들을 많이 필요로 합니다. 요즘 고교생 중, 이과 진로 희망자가 늘어나고 있는 것도 이 같은 내용과 관련이 있을 것 같은데요.
지금부터 전기전자공학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진로의 세계를 알아보면서 여러분도 관련 분야에 흥미가 있는지 탐색해보도록 합시다.

-. 전기공학 분야
1. 전기장비 연구개발자, 전기장비 제조 및 수리 기술자
화석연료가 점점 고갈되어가고, 그 부산물로 공해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새로운 동력으로 떠오르는 것이 바로 ‘전기’입니다. 이 사람들은 전기를 이용하여 전동기를 만들거나 각종 전기장비에 꼭 필요한 1, 2차 전지들, 그리고 발전 및 변환 장치에 대해서 연구, 개발하는 일을 합니다. 이러한 연구 개발직 외에도 전기산업기사, 전기공사산업기사 등의 자격증을 취득하여 각종 전기공사에 투입되는 일도 있습니다. 전기공사란 건물을 새로 짓거나 낡은 건물을 보수할 때 건물마다 고유의 전기 시스템을 구축하는 일을 말하는데요. 이러한 시스템은 기술자가 아니면 건드리지 못할 정도로 복잡하므로 위와 같은 자격증을 가진 전문 기술자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전기자동차를 만들거나 건물의 전력 사용량이 절약되도록 설계하는 일 등 전기공학 전문가들이 있어야 우리 사회가 좀 더 지속가능하고 건강해진답니다.
2. 전기에너지 생산 및 관리자
매년 여름이면 정부에서 전력 경보를 발령하며, 전기사용량을 자제해달라는 뉴스를 본 적이 있을텐데요. 지구 온난화 때문에 날씨가 점점 더워지면서 냉방 시설의 무분별한 가동으로 전력량이 부족할 때 생기는 일입니다. 2011년 9월에는 저장해두고 있던 전력량이 급격히 떨어져 소위 ‘블랙아웃’이라고 부르는 대규모 정전사태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환경오염이 점차 심해짐에 따라 새로운 녹색성장 에너지로 ‘전기’를 택함에 따라 이 분야는 점점 각광받고 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 발전소에서 하는 일이 이 분야와 관련이 있는데요. 이들은 화석 연료, 수력, 조력, 원자력 등 여러 가지 재료들을 이용하여 전기를 만들어 내는 일부터 이렇게 만들어 낸 전기를 각각의 가정집 및 회사들까지 어떻게 전송할 것인지에 대해 연구하며 그와 관련된 시스템을 구축해내는 일을 하는 사람들입니다.
-. 전자공학 분야
1. 반도체 연구
집에 있는 전자제품의 개발자 속을 들여다본 적이 있나요? 대부분의 전자제품 속에는 초록색 기판들이 있고 그 위에는 수많은 칩과 배선들로 가득합니다. 바로 이 Chip들이 모두 반도체라고 할 수 있는데요. 10년 전까지만 해도 대부분 컴퓨터에는 CD-ROM이 달려 있었고, 한 편의 영화를 담기 위해서는 2~3장의 CD가 필요했지만, 최근에 나오는 컴퓨터에는 대부분이 USB 슬롯만 있고, 영화 같은 영상들을 담을 때에는 조그마한 USB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좀 더 작은 것에 더 많은 양의 정보를 담고, 더 빠른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는 분야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2. 디스플레이 연구원
영화 ‘아바타’를 기억하나요? 2009년에 개봉한 영화로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상영된 3D 영화인데요. 눈앞에서 살아 숨 쉬듯이 움직이는 3D 영화는 우리를 놀라게 하였습니다. 요즘엔 찾아보기도 어려운 둥근 유리면으로 된 TV들부터 최근 들어 나오는 3D TV와 초대형 TV까지. 이러한 것들을 연구, 생산해내는 것이 바로 디스플레이 분야입니다. 이외에도 핸드폰의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정보를 어떻게 하면 좀 더 현실감 있고 편리하게 ‘보여줄까?’에 대한 연구도 합니다. ‘Display’란 영어 단어 자체가 ‘보여주다.’라는 뜻을 가진 것처럼 말이죠.
3. 나노공학자
인간 머리카락의 굵기는 약 70마이크로미터라고 하는데요. 1나노는 마이크로보다 약 1,000배 작은 단위로 머리카락보다 약 70,000배 작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나노 공학이란 이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 속을 연구하면서 구조물을 만들고 미세한 조작을 통해 새로운 물질, 새로운 제품들을 만들어내는 분야입니다. 나노 공학자들은 전기전자뿐만 아니라 바이오, 화학, 생명 등 다른 공학분야에서도 연관성이 많고 학문적으로 발전 가능성도 무궁무진합니다.
※ 대학에서 전기전자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자, 이제 전기전자에 대해 좀 관심이 생겼다면 관련 학과를 알아볼까요?
전국에 있는 수많은 대학에 전기전자 관련 과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 이름이 너무나도 다양해서 헷갈릴 수도 있으니깐 먼저 소개할게요.
전기공학과 / 전기정보공학과 / 전기전자공학과 / 정보통신공학과 / 정보디스플레이공학과
전기컴퓨터공학과 / 전기전자전파공학과 /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위에 나열한 학과들이 전부 전기전자 관련 학과들입니다. 학교마다 학과명이 조금씩 다른데요. 가령 ‘서울대학교에는 전기전자공학부가 있는데 고려대학교에는 전기전자전파공학부가 있네? 뭐가 다른 것이지?’ 하면서 의문을 품는 친구들이 있을 거에요. 사실 별로 다를 건 없습니다.
전기전자 분야는 세부 분야가 많긴 하지만 조금씩 비슷한 부분들이 있어서 어딜 가서 배우든 배우는 건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학과 이름에 따라서 각 분야에 맞게 세부적인 부분을 더 깊게 다룬다는 점만 기억하고 전기전자 분야 중에서도 자신이 가장 관심 있는 분야가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학과를 정하도록 하세요.
참고자료 : [매경 뉴스] 전공으로 알아보는 나의 직업 찾기 10.10.13
/ 고용정보원 발간 자료 < 2013 한국직업전망> / 한국 고용 정보원 직업 사전
-
수박씨 친구 중에 어릴 적부터 무엇인가를 만들기를 좋아하고, 집에 있는 물건들을 분해해서 그 속을 들여다보기를 좋아하는 친구가 있나요?
그리고 수학과 과학 과목을 좋아하고 이쪽 분야에 흥미가 있다면 전기전자공학 전공을 고려해보세요. 전기전자공학과에서 배우는 내용은 과학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그것을 수학으로 풀어서 익힌 다음 계산하는 과정들의 연속이기 때문에 해당 과목을 좋아하는 친구라면 즐겁게 일할 수 있을 거에요.
전기전자 기술을 통해 상상을 현실로 만들어내고 싶은 친구들! 전기전자공학의 세계로 빠져 봅시다.
생생 진로정보
번호 | 제목 |
---|---|
2 | 수연이의 국제 변호사 도전기! |
1 | 해리포터의 작가, 세계적인 소설가가 되기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