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서점

쿠폰인증센터

온리원이벤트

생생 진로정보

이 직업은 몇 등?

여러분은 커서 무엇이 되고 싶은가요? 요즘 자유학기제의 실행 예정과 함께 학생과 학부모 사이에서 청소년 시기 진로 개발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자신의 적성과 진로를 일찍이 발견하여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면 여러분 스스로 의욕과 재미를 느끼면서 공부와 학교생활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진로 목표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나에게 맞는 직업이나 진로가 무엇인지 선택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여러분은 나에게 맞는 직업이 무엇일까 생각해봤을 때 무엇을 기준으로 선택하게 되나요? 아마도 대부분은 일상생활에서나 혹은 TV, 영화에서 보이는 일부분만을 보고 그 직업에 관심이나 호기심을 가질 때가 많습니다. 또는 머릿속에 가지고 있던 직업에 대한 이미지만으로 선택하는 때도 잦지요. 하지만 우리가 막연히 가지고 있던 직업에 대한 이미지와 실제 직업의 모습은 큰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저녁 뉴스에 나오는 아나운서나 앵커는 우리에게 반듯한 옷차림에 멋진 목소리로 뉴스를 전달해주는 좋은 이미지로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아나운서의 생활은 어떤 모습일까요? 새로운 소식을 취재하기 위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사건 현장을 돌아다니고, 사실을 전달했음에도 때에 따라서는 고소를 당해 난처한 상황에 부닥치기도 합니다. 불규칙한 생활 탓에 건강에 소홀해지는 때도 잦다고 합니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만으로 직업을 선택하는 경우 열심히 노력해서 실제 직업을 갖게 된 후에도 상상과는 다른 생활에 후회를 느낄 수 있습니다.

여기 우리가 생각하는 직업의 모습과 실제가 얼마나 다를 수 있는지 보여주는 자료가 있습니다. 2012년 3월에 한국고용정보원이 조사한 자료에는 여러 유형의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직업을 얼마만큼 만족하는지 설문 조사한 결과가 있습니다. 여기에 보면 많은 친구가 선호하는 직업군인 치과의사(266위), 패션디자이너(438위), 경찰관(551위), 프로야구선수(569위), 게임프로그래머(575위), 건축설비기술자(585위), 모델(683위) 등이 하위권에 머물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친구들은 어떻게 진로나 장래희망, 직업 등을 선택해야 할까요?

처음에는 직업에 대해 가지고 있던 이미지나 생각 등으로 관심이나 호기심이 생길 수 있지만, 그 직업이 정말로 나에게 맞는 진로인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그 직업이 실제로 무슨 일을 하는지 자세히 탐색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요즘은 주변에 다양한 직업 체험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고 있어 조금만 관심을 두고 노력한다면 다양한 직업을 간접 경험해보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수박씨닷컴 진로 체험학습 정보 바로가기)

체험학습이나 책을 통해 자신이 선택한 진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 알아볼수록 그 직업이 어떤 일을 하는지 그리고 왜 필요한지, 국가나 사회에 보탬이 되는 점은 무엇인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점들을 올바르게 이해한다면 후에 직업인이 되어서도 긍지와 보람을 느끼며 힘든 점이 있어도 참고 견뎌낼 수 있을 것입니다.

(이글은 SBS 뉴스 취재파일 ‘이 직업은 몇 등? 700개 직업 만족도 순위’의 내용을 참고로 작성하였습니다.)
 

<직업 만족도 순위> 총 737개 직업 중 상위 40개 직업 목록 (한국고용정보원, 2012)
1. 초등학교 교장 21. 컴퓨터 프로그래머
2. 성우 22. 판사
3. 상담전문가 23. 보험계리사
4. 신부 24. 송배전설비 기술자
5. 작곡가 25. 임상심리사
6. 학예사(큐레이터) 26. 이미지컨설턴트
7. 대학교수 27. 번역가
8. 국악인 28. 장학사
9. 아나운서 29. 화가
10. 놀이치료사 30. 관세사
11. 도선사 31. 연극배우
12. 한의사 32. 한지 공예가
13. 심리학연구원 33. 외환딜러
14. 대학교 총장 34. 철학 연구원
15. 취업지원관 35. 노무사
16. 초등학교 교사 36. 소설가
17. 웃음치료사 37. 안무가
18. 세무사 38. 보험설계사
19. 작사가 39. 성악가
20. 특수학교 교사 40. 유치원 원장 및 원감
우리가 어른이 되면 살아가는 데 있어서 큰 부분을 차지할 직업. 이 직업을 선택하는 과정은 결코 간단한 일이 아닙니다. 자신의 적성을 찾으려는 정성과 노력이 있어야만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찾을 수 있으며, 자신의 꿈을 이루는 멋진 어른이 될 수 있습니다.

생생 진로정보

번호 제목
32 흥미를 전문성으로 발전시키려면?
31 대학 학과 탐방 <경제학과 vs 경영학과>
30 문과 or 이과 선택하기
29 마이스터고를 가다
28 2013 신생 & 이색직업을 알아보자!
27 이 직업은 몇 등?
26 직업 가계도를 그려보자!
25 잘하지 못하면 적성이 아닐까?
24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을 찾아라!
23 3명의 인생 선배가 청소년들에게 꼭 해주고 싶은 말
초등 무료체험_10월중등 무료체험_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