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서점

쿠폰인증센터

온리원이벤트

생생 진로정보

잘하지 못하면 적성이 아닐까?

이 시대의 멘토 법륜 스님을 아시나요? 승려이자 사회/환경 운동가인 법륜 스님은 재작년 안철수 씨와 함께 전국에 토크 콘서트를 다니면서 요즘 청소년과 청년들의 고민을 나누고 조언을 해주는 국민 멘토로 자리매김하셨습니다.

법륜 스님의 강연 중 질의응답 시간이었습니다. 한 청년이 스님에게 진로와 관련된 고민을 털어놓았습니다.

청년: "처음에는 기계공학과가 제 적성에 맞는 분야라고 생각해서 열심히 흥미를 느껴가며 공부를 했습니다. 대학교 4년 동안 성적도 좋았고요. 졸업할 때 즈음 이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겠다는 마음을 가지고 대학원을 준비했습니다. 그런데 대학원 입시에 떨어지고 말았습니다. 충격이었습니다. 그동안 이 분야가 제 적성에 맞고 실력도 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실력이 모자라서 대학원에 떨어졌다고 생각하니까 그동안 나의 적성을 잘못 판단하고 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들었습니다. 좀 더 제가 잘할 수 있는 분야를 찾아야 할까요?"

청년은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관한 고민이 깊어 보였습니다. 곧이어 법륜스님께서 질문을 던지셨습니다.

법륜스님: "대학원 시험에 떨어지면 적성에 맞지 않는 것입니까?, 실력이 부족하면 그 분야의 적성이 안 맞는 것입니까?"

청년은 순간 말을 잃었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요즘 청소년 시기에 미리 자신의 적성을 찾아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친구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단순히 공부를 열심히 하기보다는 구체적인 목표로 공부를 하는 이유를 만들기 위해서인데요. 때문에 여러 가지 체험 활동이나 직업 정보를 찾아 자신의 적성이 무엇인지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자신에게 맞는 분야와 직업을 찾아서 열심히 노력했지만 앞서 본 청년의 이야기처럼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정말 청년의 말처럼 적성을 잘못 찾은 것일까요?

보통 적성을 찾을 때 두 가지 기준을 말합니다. 1) 잘하는 것과 2) 재미있는 것을 찾아라. 이 중에서 사람들은 보통 ‘잘하는 것’에 비중을 많이 두는 것 같습니다. '내가 잘하니까 재미있고 그러니까 이 분야에서 성공해야겠다.'라고 생각하면서 말이지요. 이것을 뒤집어서 생각했으면 좋겠습니다. 우선은 재미있는 것을 찾으세요. 그리고 그것을 잘할 수 있도록 노력하세요. 이렇게 이야기하는 이유는 보통 사람은 처음부터 잘하는 것이 거의 없습니다. 노력을 들여 실력을 갈고 닦아야 전문가 수준의 경지에 오를 수 있지요. 모든 분야가 그렇습니다. (어떤 분야에서 성공하려면 1만 시간을 투입해야 한다는 '1만 시간의 법칙'이란 말도 있을 정도입니다.) 때문에 천재가 아닌 이상 처음부터 '잘하는 것'을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럼 어떤 기준으로 자신의 적성을 찾아야 할까요? 바로 재미있는 것, 관심이 가는 것, 그리고 나에게 의미가 있는 것을 찾는 것입니다. 이러한 것들을 어떻게 찾을 수 있는지 물어본다면 다양한 것을 경험하고 그중에서 재미와 흥미, 의미가 있는 것을 선택하라고 말씀드릴 수밖에 없습니다(조금 더 연구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 하지만 분명한 것은 재미있고, 관심이 가고 나에게 의미가 있는 분야는 내가 잘하지 못하더라도 더 노력하게끔 하는 원동력이 그 안에 존재합니다. 반대로 내가 잘하는 분야지만 어느 순간 재미와 흥미, 의미가 사라져버린다면 그 분야의 일이나 직업을 계속해나가기 어려워집니다.

이제 앞서 살펴본 청년의 고민은 어느 정도 답이 나온 것 같습니다. 법륜 스님의 답을 들어볼까요?

법륜스님: "1년 더 공부해. 올해 못하면 다음 해에 다시 도전하면 되잖아?"

아마도 청년의 마음속에서는 ‘경쟁의식’이 자리 잡고 있지 않았을까요? 그 분야에서 1년 뒤에 성공하든 2년 뒤에 성공하든 시기는 사실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그 분야에 정말 재미를 느끼고 나에게 주는 의미가 크다면 말이지요. 남과 비교하면서 빨리 성공하고자 할 때, 그때 바로 문제가 생깁니다. 내 안에 숨어 있는 적성을 찾고 그 꿈을 실현하는 것은 오로지 나와의 싸움입니다. 시기와 상관없이 정당한 방법으로 노력하여 꿈을 이룬다면 그것보다 행복한 삶은 없을 것입니다. 이와 다르게 오로지 남보다 성공하는 것, 빨리 성공하는 것에 신경을 쓰다 보면 괜한 스트레스와 경쟁의식으로 노력에 쏟아 부을 힘을 잃게 됩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수학 문제로 골머리를 앓으며 '아 난 이과 적성이 아닌가 봐. 의사는 포기해야겠어. ㅠㅠ'라고 울부짖고 있는 친구들이 많을 것입니다. 처음부터 수학을 잘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러나 노력해서 수학을 잘하게 된, 노력으로 수학 실력을 발전시킨 사람들은 있습니다. 여러분도 이런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참고: 법륜 스님과 관련된 내용은 법륜 스님의 ‘즉문즉설’ 강연 내용 일부 인용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꿈을 향해 달려갈 때는 남들을 의식하지 말고 꿋꿋이 자신의 길을 걷기 바랍니다. 그 과정에서 혹시 능력이 부족한 것 같아서 좌절할 때가 온다면 '1만 시간의 법칙'을 기억하세요. 어느 분야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1만의 시간, 거의 10년의 세월이 필요하다는 것을요. 지금 현재 실력이 없는 것은 원래 그런 겁니다. 절대 여러분이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세상에 성공한 많은 사람 중에 어떤 사람도 이 1만 시간의 법칙을 피해 간 사람은 없습니다.

생생 진로정보

번호 제목
52 진로 독서 실천 가이드
51 의대 나오면 의사만 되나? 의학 전공자가 생각할 수 있는 다양한 진로!
50 직업은 어떻게 변해왔을까?
49 새로운 직업을 만들어라!
48 여름방학, 진로 체험활동으로 직업에 대한 이해를 높여보자!
47 진로 설정이 잘못되었을 때 좌절하지 않고 꿈을 이루는 법
46 애니메이터(animator)에 대해 알아보자!
45 책을 진로 탐색에 활용하는 법
44 제과 명장 3인의 성공 스토리
43 녹색직업의 세계
초등 무료체험_10월중등 무료체험_11월